2025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정부 기여금 월 최대 3만 3천 원, 이자 비과세 혜택, 가입 조건, 신청 방법까지 꼼꼼하게 알려드립니다. 청년 재테크의 시작은 여기서!

⸻
청년도약계좌란?
“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든든한 청년 전용 계좌!”
청년도약계좌는
✔️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청년이
✔️ 최대 5년간 저축하면서
✔️ **정부 기여금(월 최대 3.3만 원)**과
✔️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자산형성 금융상품이에요!
⸻
어떤 혜택이 있나요?
✨ 정부 기여금: 월 최대 33,000원
✨ 이자소득 전액 비과세!
✨ 본인 납입 한도는 월 최대 70만 원
✨ 5년 유지 시 수백만 원 자산 형성 가능
✨ 은행별 우대금리 + 이벤트 혜택까지!
⸻
신청 자격은?
다음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해요!
1️⃣ 연령 요건
• 만 19세 이상 ~ 34세 이하
• (병역 이행 시 만 39세까지 연장 가능)
2️⃣ 개인 소득 요건
• 전년도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3️⃣ 가구 소득 요건
•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예: 1인 가구 기준 약 월 511만 원)
4️⃣ 금융소득 기준
• 최근 3개 과세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X
⸻
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
정부 기여금은 매달 저축하는 금액과 무관하게
자격 요건 충족 시 월 최대 33,000원까지 지급됩니다.
✅ 예시
• 본인 월 납입액 20만 원 → 정부 기여금 3.3만 원
• 본인 월 납입액 40만 원 → 정부 기여금 3.3만 원
• 본인 월 납입액 70만 원 → 정부 기여금 3.3만 원
즉, 얼마를 넣든 정부 기여금은 최대 3.3만 원이 한도이며,
이자소득도 비과세 혜택으로 받게 됩니다!
⸻
어디서 신청하나요?
STEP 1️⃣ 자격 확인 신청
•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에서 신청
• 자격 확인 바로가기
STEP 2️⃣ 계좌 개설 (자격 확인 후 지정 은행 앱에서 가능)
신청 가능한 은행
•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대구·부산·광주·전북은행 등
신청 일정
• 2025년 기준 상반기 신청: 4월 1일 ~ 4월 11일
• 계좌 개설: 4월 17일 ~ 5월 9일 (자격 통과자 대상)
⸻
준비 서류는?
•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소득금액증명원 (홈택스 발급)
• 가족관계증명서 (가구소득용)
TIP: 대부분 서민금융진흥원 시스템에서 자동 제출 가능!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서민금융상품(근로자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유스, 미소금융), 서민생활지원, 휴면예금 지급서비스 제공
www.kinfa.or.kr
⸻
주의사항은?
⚠️ 중도해지 시 정부지원금 회수됨
⚠️ 1인 1계좌만 가입 가능
⚠️ 청년희망적금 보유자 중복가입 불가
⚠️ 신청 전 본인 가구소득·소득금액 꼭 확인해야 함
⸻
이런 분께 추천해요!
✨ 월 10~20만 원 이상 저축할 수 있는 청년
✨ 재테크 시작하고 싶은 사회초년생
✨ 세금 걱정 없이 이자 받고 싶은 사람
✨ 정부 혜택으로 자산 형성하고 싶은 모든 청년
⸻
유튜브 참고 영상
▶️ 2025 청년도약계좌 총정리! 쉽게 설명한 영상
'돈 되는 정책 및 제도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취득세 총정리] 집 살 때 세금 얼마? 실거주 vs 다주택 차이 한눈에! (0) | 2025.05.16 |
---|---|
서울 집 살 때 대출 얼마까지? 💸 LTV·DSR 한도 총정리! (3) | 2025.05.15 |
[2025 혼인·출산 청약제도 개편 완벽정리] 신혼부부·육아가구라면 꼭 알아야 할 혜택 4가지! (1) | 2025.05.14 |
[2025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완벽정리] 월 80만 원 지원받고 인건비 부담 줄이세요! (0) | 2025.05.13 |
2025 지분형 모기지 대출이란? 예시로 쉽게 이해하는 내 집 마련 신개념 제도! (2)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