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뜰 살뜰 꿀팁 정리

2025년 실업급여 예상 금액 계산법 총정리! 고용24로 쉽게 신청하는 방법까지

by 언박서23 2025. 4. 22.


2025년 실업급여 예상 수령액 계산법부터 고용24를 통한 신청 방법, 자격 조건, 계산 예시까지! 퇴직 전에 꼭 알아야 할 실속형 정보 모음.




💼 실업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직장을 퇴사하게 되면 가장 먼저 궁금한 게 바로
“실업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라는 점이죠!

실업급여는 비자발적 퇴사자가 구직활동을 전제로 일정 금액을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고용24 플랫폼을 통해 실업급여 신청 및 확인이 가능해졌어요!



✅ 실업급여 수급 자격 요건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이상
• 비자발적 퇴사 (권고사직, 계약만료, 폐업 등)
• 구직활동을 하고 있을 것
• 이직일 기준 12개월 이내 신청


⏱ 실업급여 지급 기간 (2025 기준)




✏️ 실업급여 금액 계산 공식


하루 실업급여 = 평균임금 × 60%
• ▶ 평균임금 = 퇴직 전 3개월간 총 급여 ÷ 총 일수
• ▶ 단, 상한/하한선 적용됨

2025년 기준
• 1일 최대 지급액: 77,000원
• 1일 최소 지급액: 66,576원 (최저임금 기준)



💡 실업급여 계산 예시


월 300만원 받던 40세 직장인 A씨의 경우
1. 평균임금: 3,000,000 ÷ 30일 = 100,000원
2. 하루 실업급여: 100,000 × 60% = 60,000원
3. 지급 기간: 근속 5년 → 150일

총 수령액 = 60,000원 × 150일 = 9,000,000원

※ 상한/하한선 적용 시 금액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



🧮 실업급여 금액 미리 계산하는 방법!


2025년부터는 고용24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간편하게 실업급여 모의 계산이 가능해졌습니다!

▶ 고용24 실업급여 계산기

고용24_개인

www.work24.go.kr

1. 고용24 접속
2. [실업급여 → 모의계산] 메뉴 클릭
3. 퇴직 전 평균임금 입력
4. 자동 계산된 예상 수령액 확인!



고용24를 통한 실업급여 신청 방법


신청 절차
1. 고용24 회원가입 및 로그인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 필수
2. 구직신청 등록
→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작성
3. 실업급여 수급 자격 신청
→ 퇴사 사유 및 고용보험 이력 입력
4. 수급자격 인정 교육 이수
→ 온라인/오프라인 선택 가능
5. 구직활동 보고 및 실업인정 신청
→ 1~2주 간격으로 구직 활동 내역 제출



❓ 실업급여 Q&A


Q. 자발적 퇴사도 받을 수 있나요?
→ 원칙적으로 안 되지만, 아래 상황은 예외로 인정됩니다!
• 임금 체불
• 직장 내 괴롭힘
• 건강상의 이유
• 계약 위반 등

Q. 실업급여 받는 중 단기 알바해도 될까요?
→ 소득을 신고만 제대로 한다면 가능하지만
지급액 조정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 참고 유튜브 영상 추천

▶ 2025 실업급여 완전 정복! 고용24 신청 꿀팁 모음




✨ 마무리 Tip

실업급여는 받을 수 있는 권리이자 새로운 출발의 지원금입니다.
퇴사 전 반드시 고용보험 가입 이력, 평균임금, 퇴사 사유를 체크하고
고용24를 통해 미리 준비하세요!

놓치지 마세요! 당신의 구직 준비는 지금부터 시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