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뜰 살뜰 꿀팁 정리

[전세 계약 필수체크] 가계약금 돌려받는 방법까지 완벽 정리!

by 언박서23 2025. 5. 14.


전세 계약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유의사항과 가계약금 반환 받는 방법을 체크리스트로 정리! 전세사기 예방 꿀팁과 보증금 안전하게 지키는 방법까지 한눈에!




전세 계약, 대충 했다간 큰일나요‼️


전세 계약은 말 그대로 ‘목돈이 오가는 거래’
요즘같이 전세사기 많은 시대엔
가계약금 송금도 위험할 수 있어요!

“그냥 말로만 계약했는데, 돈은 돌려받을 수 있나요?”
“집주인이 계약 당일 불참한다는데 괜찮을까요?”

이런 불안한 상황을 미리 막는 꿀팁,
이 포스팅 하나면 걱정 끝!



✅ 전세 계약 시 꼭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6가지


1.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 근저당, 압류, 가압류 여부 체크
🧾 소유자가 실제 임대인인지 확인!

건물등기사항증명서 발급 | 민원안내 및 신청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2. 집주인 신분 확인
🏢 법인 명의일 경우 사업자등록증 + 인감증명서 확인
❗ 명의자가 임대사업자 등록이 되어있는지 확인!

3. 전입세대 열람 필수
🚫 이미 누가 전입되어 있다면? → 순위 밀릴 수 있음!

4.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 HF나 HUG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 매물인지 체크
✍️ “임대인은 보증보험 가입에 동의함” 특약 넣기!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주택도시보증공사

주택가격 산정기준 - 주택가격은 보증승인일 현재의 ‘가격정보 순서’로 적용 가. 아파트, 오피스텔 및 노인복지주택 나. 그 외 주택 다. 감정평가서 이용 시 보증료 할인 및 할증 [보증료할인]

www.khug.or.kr


5. 계약서 특약란 꼼꼼히 작성
📝 본계약 불발 시 가계약금 반환 명시
📅 본계약일, 입주일자, 계약불이행 시 조치 등 구체적으로!

6. 입주 전 전입신고 가능 여부
🚪 보증금 보호를 위한 선점 전략!



💸 가계약금 반환받을 수 있는 조건


가계약금, 무조건 못 돌려받는 건 아니에요!
다음과 같은 경우엔 법적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돌려받을 수 있는 경우
• 집주인이 계약일에 불참
• 등기부등본상 문제가 새로 발견됨
• 보증보험 가입 거절
• 조건 변경 (처음 말한 조건과 다를 때)

❌ 돌려받기 어려운 경우
• 단순한 임차인의 마음 변경
• 계약서나 특약이 아예 없을 때
• 문자, 카톡 등 증빙자료가 없을 때



✨ 가계약금 반환 꿀팁 정리


🔹 카톡 / 문자 / 녹취 꼭 저장하기!
📱 계약 불이행 사유가 상대방 책임임을 입증!

🔹 특약사항에 반환 조건 명시
✍️ “본계약 체결 불가 시 가계약금 전액 반환” 등 넣기

🔹 내용증명 보내기
📬 우체국에서 내용증명 보내면 공식 기록으로 활용 가능!

🔹 대한법률구조공단 무료상담 활용
⚖️ 법적 조언 받고 분쟁을 현명하게 해결하세요!

대한법률구조공단

효율적인 법률구조로 국민의 기본적 인권 옹호, 법률복지 증진

www.klac.or.kr




🧠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분쟁 예시


사례1
💬 김씨는 전세 가계약 후 계약일에 집주인이 불참
📑 문자+계약서 기록 근거로 내용증명 보내고 전액 반환 성공

사례2
💬 박씨는 본인이 마음 바꿔 계약 취소
📃 특약이 없어 가계약금의 절반만 반환



요약 정리 ✅ 전세 계약 시 필수 확인사항 5줄 요약!

☑️ 등기부등본 & 전입세대 열람 필수
☑️ 보증보험 가능 여부 확인
☑️ 특약란에 ‘가계약금 반환 조건’ 꼭 넣기
☑️ 문자/카톡으로 중요한 내용 남기기
☑️ 계약 당일 집주인 참석 여부 확인하기!



마무리 멘트

전세 계약 전 체크리스트만 잘 챙겨도
수천만 원 지킬 수 있어요!
가계약금은 ‘진짜 계약이 아니면 위험’할 수 있으니,
항상 서류로, 증거로 남기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주변 지인들과 공유해 주세요!




▶️ 추천 유튜브 영상